본문 바로가기
취업준비

노력은 했는데 왜 취업이 안 될까? | 노력 대비 결과가 안 나오는 사람들의 공통점

by 꾸미꾸미쌤 2025. 6. 27.

 

"스펙도 쌓았고, 자격증도 많고, 온라인 강의도 쉬지않고 듣는데 왜 나는 취업이 안 될까?"

자기계발은 꾸준히 하고 있지만, 노력 대비 결과가 나오지 않아 고민하시는 분들 많으실겁니다. 문제는 여러분의 노력이 부족해서가 아닙니다. 단지 노력의 방향이 조금은 어긋나 있었기 때문일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오늘은 그렇게 열심히 해도 결과가 잘 나오지 않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문제점을 짚어보고, 취업 성공을 위한 노력의 방향을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목적 없는 자기계발 : '일단 하자'는 마인드의 함정!]

많은 분들께서 자격증을 따고, 국비 교육도 듣고, 직무관련 온라인 강의를 듣는 등의 노력을 합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왜 이걸 하는가?'를 스스로에게 묻지 않는다면 그 모든 노력은 '스펙만 채우기'에 머무르게 됩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 직무를 준비하지 않는데도 막연히 포토샵 강의를 듣고 있다는 건 노력은 했지만 방향이 다른 케이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 노력 대비 결과가 안 나오는 가장 큰 이유는 '직무와 상관없는 자기계발'에 시간과 에너지를 쏟는 것입니다.

노력 대비 더 좋은 결과를 얻고 싶으신가요? 그렇다면 여러분이 희망하는 직무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그에 맞는 자기계발 리스트를 세우고 선택적으로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목표 없는 습관형 학습보다 직무 기반 실전 경험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포트폴리오나 결과물이 없음 : '했는데, 보여줄 게 없음']

자기계발, 취업준비 모든 것들을 열심히 했는데 막상 면접장에서 "공백기간동안 뭘 하셨나요"라는 질문을 받으면 "아.. 수강을 하긴 했는데요.. 포트폴리오는 아직입니다.."라는 식으로 대답이 막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는 학습 중심의 노력은 많았지만, 결과 중심의 산출물은 부족한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취업 시장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을 공부했느냐보다, 그것으로 무엇을 만들었느냐입니다.

노력은 많이 했는데 늘 결과가 따라오지 않는다고 생각하신다면, 지금까지 해온 활동들을 그저 지나가는 활동으로 두지 마시고 포트폴리오화하는 연습을 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온라인에서 강의를 수료했다면? 결과물(기획서나 프로젝트, 캡처본이라도)을 정리해두세요. 그리고 블로그나 노션 등을 활용해 '성장 기록'형태로 업로드해놔도 좋습니다. 산출물은 '기술+맥락+실전 응용'이 있는 산출물을 만드는 게 핵심입니다.

 

[혼자만의 노력 : 검증과 피드백이 없다]

열심히 준비하긴 했지만, 혼자 공부하고 혼자 정리하고 혼자 판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는 이런 노력들이 외부의 검증을 받지 못한 상태라는 겁니다. 즉, 지원자 스스로의 시선에서는 훌륭했지만, 채용자의 관점에서는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 자기소개서나 포트폴리오도 스스로는 잘 썼다고 생각하지만 계속 탈락하게 됩니다. 노력 대비 결과가 나오지 않는 핵심 이유 중 하나죠.

그러니 모의면접이나 자소서 첨삭 등 외부 피드백 루트를 만드는 게 어떻게 보면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자소서 첨삭은 비용이 들어가니, 지인 중 원하는 직무에서 일하고 있는 선배의 조언을 받아 객관적인 시선을 점검받을 수 있다면, 가장 좋은 방법이겠죠. 혹은 커뮤니티나 오픈채팅방 등에서도 같은 목표를 가진 사람들과 교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단, 같은 지원자 입장에 놓인 사람들과 교류하여 피드백을 받을 땐 상대방의 모든 의견이 정답이 아니니 걸러 들을 필요는 있습니다.

 

[행동이 없는 계획형 취준생]

'노력'이라는 이름으로 계획만 세우고 실제 지원은 미루는 사람도 많습니다. 수십 개의 자소서를 작성해두고도 제출을 미루다가 기한을 놓치는 경우, 자격증 시험은 계속 준비만 하고 응시조차 하지 않은 경우는 결국 노력은 했지만, 결과는 없었던 취업 루프로 이어집니다. 이런 사람들의 공통점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행동을 멈추게 만든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결과는 실행한 사람만이 가질 수 있습니다.

너무 완벽하게 준비가 된 후 지원하는 방식보다 지원하면서 보완하는 방식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실패를 '피드백의 자산'으로 받아들이는 마인드 셋팅도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작게라도 실천하는 습관이 최종 합격으로 이어진다는 걸 기억하세요!

 

자기계발을 많이 했는데 취업이 잘 안되는 이유는 노력이 부족해서가 아닙니다. 준비의 방향이 어긋나 있었기 때문이고, 성과로 연결되는 구조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지금부터라도 여러분의 노력이 직무 중심인지, 산출물은 남고 있는지, 검증받고 있는지, 실행으로 이어지는지를 점검해보세요. 그것이 진짜 결과로 이어지는 자기계발의 시작입니다.